728x90
Dopamin 도파민
- neurotransmitters, pleasure and reward
- also important for motivation : 생존을 위한 행동을 알려주거나, 일을 하는 동기를 부여해주므로 중요하긴 함... (*오히려 adhd 입장에서는 이게 부족해서 주어진 일을 못하는 것이라 알려져 있지 않나..
-
1. 중독 진단 기준
- 통제력 control
- 강박 compulsions
- 갈망 cravings
- 결과 consequences
- 눈에 보이는 (일, 학업) 단점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
- denial 부정 또한 대표적인 증상으로 나타남..
- 신체적으로는 내성 tolerance 생김
- withdrawal 금단 증상이 생리적으로 발생 : 심리적 증상
- 중독은 스펙트럼 증상이다 = 경도가 있음
-
2. risk factors 위험인자
- 태생적 nature
- genetic load 유전적 부하(유해한 유전자가 있어 생존하는 데 갖게 되는 부담)에 의해 가족력이 있으면 환경이 전혀 그렇지 않더라도 중독의 가능성이 더 높음..
- 정신 질환 등을 동반하면 무언가에 중독될 위험을 높임
- 근데 실제로 중독 행동을 하지 않으면 호소했던 가짜 정신 질환이 없는 경우도 있음.
- 양육적 nurture
- 부모의 음주나 흡연이 자녀의 중독률을 높인 다는 연구결과가 있음
- 환경적 neighborhood
- 모든 정신 질환(psychiatric problems)은 결국 스트레스에 취약한 체질(stress-vulnerability diathesis)임을 뜻함
- 오늘날은 과잉(overabundance)의 시대
- 중독 위험을 높이는 환경적 스트레스 예시 : Poverty 가난, unemployment 실직, multi-generational trauma, simple access to our drug of choice 중독에 쉽게 접근할 환경
-
3. Treatment 치료
- 다행히 효과가 있다ㅋㅋ 그 뜻은 평생 가지 않는 다는 것
1) 생물학적 biological : 약 처방
2) 심리적 psychological : 개인 혹은 집단 therapy
3) 사회적 environmental : 중독자 모임 같은
-
4. 쾌락과 고통 : 같은 곳에서 저울처럼 작용
- 항상성 homeostatus : 균형을 유지하고 싶어함
- neuroadaptation(신경 적응)이 작용하는데 고통 쪽에 오래 남아있어 쾌락이 사라지고 나면.. 우울이나 갈망이나 숙취와 같은 후유증이 나타나게 됨...ㄷㄷ
- 물질을 소비하지 않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고통쪽이 사라지고 평형으로 돌아옴 = 쾌락 후에는 대가를 치워야한다
-
5. 중독 치료 단계 intervention
- abstain 절제
- 충분히 오랜 시간을 두고 항상성 되찾기 (대부분 약 4주)
- but. 중독 초기에만 효과가 있음
- 이미 단식을 시도했다가 실패했었다면 효과가 없을것이다 (괜히 반복해서 안되면 우울감만 커짐)
- maintain 유지
- 의지력만으로는 안됨
- 자기 구속 전략을 사용 - 물리적 장벽, 시간 활용(의사 믿기), 가치관 떠올리기 등
- seek out pain 고통 추구
- 역으로 고통 쪽을 누르면 항상성 작용으로 쾌락 추구가 됨
- ex) 운동 후, 얼음 목욕, 새로운 것 배우기
- 일종의 노출 요법, 불편한 일을 억지로 하고 나면 기분이 좋아진다!
-
6. Plenty Paradox 풍요의 역설
- 실제 사람들을 만나서 '부딪히고', '갈등을 해결하고', 대화하고 '시간을 투자해야' social 적인 관계를 맺는 건데, SNS의 사용만으로 사회 관계 성취에 대한 착각 보상을 받게 됨
- 만성 도파민 결핍 상태 -> 우울증, 불안 환자 증가됨 (특히 부유한 나라에서 - 고소득 국가의 자살률이 더 높다)
-
7. DOPAMINE 임상 치료법
- Data : 시간 역추적 기록, 소비량 파악
- Objectives : 물질을 사용하거나 소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? 어떤 긍정적인 점이 있는가?
- Problems : 강박적 과잉 소비로 인해 생긴 문제점
- Abstinence절제, Asceticism고행 : 5번 내용
- Mindfulness : 자기 생각과 감정을 편견없이 관찰, 현재의 내가 불편해도 자꾸 인식해보자
- Insight통찰 : 단식 후 깨달음 revelation
- Next steps : 절제의 좋은 점과 나쁜 점 적어보기
- 절제 기간 후 좋은 점을 많이 생각하게 됨
- 대표적으로 사람들이 적어오는 나쁜 점 : (함께 중독 행위를 하던) 친구와 어울리지 못함, 지루함
- Experiment : 어떻게 보상 경로를 수정하고 중독을 차단할 것인지 방법을 찾고 노력하다보면 방법을 알고 조절하게 될 지도 모른다.
- 절제 위반 증후군 : 만약 절제 노력 후 폭주하기 시작했다면 -> 더 충분히 긴 기간을 두고 다시 절제하기 시작
728x90
반응형
'Contents > 인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산성] CODE 방법론 단계와 실행, PKM 구축, PARA 노트 정리 (0) | 2025.03.07 |
---|---|
OneDrive 중복 폴더 해제 및 제거 방법: Windows, Mac, 모바일 (0) | 2025.03.03 |
[영어/자격증] OPIc 오픽 AL 시험 후기 / 환급 패스 인강, 공부법 정리 (0) | 2025.02.16 |
[생산성] mbti P의 투두메이트 2년, TickTick 1년 반 사용 후기 / 시간관리 도구 앱 추천 (0) | 2025.01.14 |
[대외활동] 삼성 샤이닝스타 3기 합격 + 활동 후기 (0) | 2024.1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