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ents/인생

[생산성] CODE 방법론 단계와 실행, PKM 구축, PARA 노트 정리

도엔 2025. 3. 7. 18:02
728x90

개인 지식 관리 시스템(Personal Knowledge Management, PKM)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CODE 방법론을 활용하기.

_

1. 개요

CODE는 네 가지 핵심 단계로 구성됨.

  • Capture(포착): 중요한 정보를 수집
  • Organize(정리): 효과적으로 정보를 분류
  • Distill(요약): 핵심 내용을 추출
  • Express(표현): 지식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결과물 생성

이 방법론을 활용하여 단순한 정보 저장을 넘어,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기대해보자.


==========𝔼𝔼𝟚𝟚==========

 

2. CODE 방법론 단계

2.1 Capture (포착) - 정보 수집

  1. 영감을 주는 정보나 아이디어를 디지털 툴을 활용해 저장
    • Notion, Obsidian, Evernote, OneNote, Logseq 등의 PKM 앱 사용
  2. 다음과 같은 유형의 정보 저장
    • 읽은 글, 책, 강의, 팟캐스트, 논문 등의 핵심 내용
    • 본인의 아이디어, 회의 노트, 연구 자료
    • 실행 가능한 팁이나 방법론
  3. 정보 저장 시 태그(tag)나 키워드를 추가하여 나중에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정리

# 도구 예시

  • 웹페이지 저장: Pocket, Instapaper
  • 메모 앱: Apple Notes, Google Keep
  • 논문 관리: Zotero, Mendeley

_

2.2 Organize (정리) - 정보 체계화

CODE 방법론에서는 PARA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보를 분류한다. 

1) PARA 시스템 개요

  • Projects(프로젝트): 단기적인 목표나 진행 중인 작업
  • Areas(영역):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장기적 책임 분야
  • Resources(자원): 관심 있는 정보나 참고 자료
  • Archives(보관함): 완료된 프로젝트 및 비활성 정보

2) PARA 적용 예시

구분 예시
Projects 보고서 작성, 논문 준비, 코딩 프로젝트
Areas 재정 관리, 건강 관리, 업무 효율성 개선
Resources 읽고 싶은 책 리스트, 논문 요약, 연구 자료
Archives 완료된 프로젝트, 과거 회의 노트

 

* 이런 방식으로 정리하면 현재 중요한 정보와 나중에 참고할 정보가 명확하게 구분되므로, 필요할 때 빠르게 찾을 수 있다!

 

# 도구 추천

  • Notion: 프로젝트 관리 및 정리
  • Obsidian: 네트워크 기반 노트 정리
  • Evernote: 참고 자료 보관

_

2.3 Distill (요약) - 핵심 추출

중요한 내용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요약하여 액션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야 한다.

  1. 3줄 요약법: 핵심 개념을 3줄로 요약
  2. 하이라이트: 노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에 색상을 지정하거나 메모 추가
  3. Feynman 기법: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간단한 언어로 설명
  4. MOC (Map of Contents): 관련된 개념을 연결하는 구조적인 노트 정리

# 예시) 연구 논문의 핵심 요약

  • 원문: "본 연구는 신경망을 이용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하며, 실험 결과는 기존 방법보다 20% 높은 성능을 보였다."
  • 요약: "신경망 기반 최적화 기법 제안 → 기존 대비 20% 향상"

# 도구 추천

  • Readwise: 읽은 책이나 기사에서 핵심 요약 자동 저장
  • Notion/Obsidian: 요약된 정보 정리

_

2.4 Express (표현) - 지식 활용

정보를 저장하고 요약한 후에는, 이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.

  1. 블로그나 글쓰기
    •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블로그나 뉴스레터로 공유
    • 학습 내용을 글로 쓰면서 본인의 이해도를 높임
  2. 프레젠테이션 및 강의
    •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강의 자료나 발표 자료 제작
    • 단순히 정보를 저장하는 것보다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더 깊이 있는 이해 가능
  3. 프로젝트 적용
    • 연구, 업무, 코딩 등 실제 프로젝트에 배운 내용을 반영
    • 정보가 단순한 참고자료가 아닌 실제 실행 가능하도록 적용

# 도구 추천

  • Medium, Tistory, Substack: 글쓰기 및 블로그
  • Notion, Roam Research: 콘텐츠 기획


==========𝔼𝔼𝟚𝟚==========

 

3. 결론 및 실천 방안

  1.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서 끝나지 말고,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할 것
  2. PARA 시스템을 적용하여 정보를 필요할 때 바로 찾을 수 있도록 구조화할 것
  3. 노트 정리 후 핵심 내용을 요약하고, 주기적으로 복습할 것
  4. 글쓰기, 강의, 프로젝트 적용을 통해 지식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것

_

# 예) 논문 관리 방식

  1. Capture : 논문을 Zotero에 저장하고, 중요한 부분을 Readwise로 하이라이트
  2. Organize : Notion에서 "연구 프로젝트(P)"와 "논문 정리(R)" 섹션에 분류
  3. Distill : 논문의 주요 내용과 실험 결과를 요약한 후, 본인의 연구와 관련된 인사이트를 기록
  4. Express : 연구 발표 자료 제작 및 논문 작성
  5. 결과 : 논문 관리가 체계화되고, 연구 성과가 향상됨

_

* CODE 방법론을 적용하면 단순한 메모 관리가 아니라, Second Brain 구축할 수 있다.

728x90
반응형